반응형
문제 출처 :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5639
알고리즘 분석 :
문제 해결에 필요한 사항
1. 이진 탐색 트리 :: http://www.crocus.co.kr/search/%EC%9D%B4%EC%A7%84%20%ED%83%90%EC%83%89%20%ED%8A%B8%EB%A6%AC
2. 순회 :: http://www.crocus.co.kr/632
3. Map STL :: http://www.crocus.co.kr/604
전위, 중위를 알 때 후위를 구하는 방식은 위의 링크에서 확인 할 수 있다.
이진 탐색 트리에서 입력으로 전위 순회가 주어진다면 중위 순회는 공짜로 받을 수 있다.
왜냐면 map이 정렬 자체를 이진 탐색 트리의 구성으로 해주기 때문이다.
이렇게 전위, 중위를 알게될 때 후위를 구하는 코드를 통해 쉽게 해결할 수 있다.
소스 코드 :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| #include <iostream> #include <cstdio> #include <map> #include <vector> using namespace std; map<int, int> m; vector<int> slice(const vector<int> &v, int a, int b) { return vector<int>(v.begin() + a, v.begin() + b); } void printPostOrder(const vector<int> &preorder, const vector<int> &inorder) { // 서브 트리에 포함된 수 const int N = preorder.size(); if (preorder.empty()) return; // preorder[0] 항상 root const int root = preorder[0]; int L; for (int i = 0; i < N; i++) if (inorder[i] == root) { L = i; break; } printPostOrder(slice(preorder, 1, L + 1), slice(inorder, 0, L)); printPostOrder(slice(preorder, L + 1, N), slice(inorder, L + 1, N)); // 후위 순회 출력 printf("%d\n", root); } int main() { int val; vector<int> pre; vector<int> in; while (scanf("%d", &val) != EOF) { m[val] = 1; // map -> 이진 탐색 트리 즉, 중위 순회에 이용 pre.push_back(val); // 전위 순회 } for (auto it = m.begin(); it != m.end(); it++) in.push_back(it->first); // 중위 순회 push printPostOrder(pre, in); return 0; } // This source code Copyright belongs to Crocus // If you want to see more? click here >> | Crocus |
반응형
'Applied > 알고리즘 문제풀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1600번] 말이 되고픈 원숭이 (0) | 2017.04.14 |
---|---|
[11812번] K진 트리 (0) | 2017.04.13 |
[2240번] 자두 나무 (2) | 2017.04.13 |
[3048번] 개미 (0) | 2017.04.13 |
[11404번] 플로이드 (2) | 2017.04.12 |